표준몸무게 계산기 활용해봐요

반응형

체중을 조금이라도 더 줄여보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생각보다 쉽지 않은데요.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는 표중몸무게 범위 내에만 속하면 된다고 하니 몸무게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말아야겠습니다. 건강하게 살 수 있는 또는 생명을 유지하는데 가장 적절한 남자 여자 표준몸무게 계산기를 통해 간단하게 확인해보고 비만이 아니라면 무리해서 다이어트를 할 필요는 없어요. 근육없이 마르기만 하면 오히려 노화를 앞당길 수 있습니다.

 

 

여성의 평균키인 160.4㎝이면서 몸무게가 57kg, 나이는 만 25세일 경우 계산을 해보니 체질량지수 (BMI) 22.15(정상)으로 나왔는데요. 하지만 약간 과체중에 더 가까워 보이네요. 53kg으로 다시 계산하니 딱 중간으로 나왔습니다.

 

 

여성 키가 160cm일 경우 56kg이면 평균으로 볼 수 있지만 미용몸무게는 아닌데요.. 예뻐보이는 체중은 47kg 정도입니다. 표준체중 범위에 있으면 비만은 아니기 때문에 꼭 다이어트를 하거나 몸무게를 줄일 필요는 없어요.

 

160cm에 47kg으로 계산을 하니 오히려 저체중으로 나오네요. BMI 은 18.5~25 정도면 건강한 체형이랍니다. 예뻐보이는 몸무게를 만들어야 하는데 쉽지 않네요.

 

 

최근 남성의 평균키는 173.5cm 라고 하는데요. 남자 표준몸무게 계산기를 활용해서 적정체중을 알아볼까요. 173.5cm 에 70kg, 나이 25세를 입력하여 계산해보니 과체중이라고 나옵니다. 70정도면 적당하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였어요.

 

69kg으로 계산 해보니 정상은 맞지만 과체중에 가까운데요 그래도 20대 남성 상위 50%에 속합니다. 상위 50%는 동일 연령대 100명을 기준으로 작은 순을 1번으로 했을 때 50번째를 의미합니다. 딱 중간이네요.

 

 

BMI 외에도 표준몸무게를 구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표준 체중 (kg) = 신장 (m) × 신장 (m) × 22 이 산출방법을 사용하면 알 수 있습니다. 여자 표준몸무게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키인 1.6(m) × 1.6(m) × 22 를 계산해봤는데요. 56.32kg으로 나왔어요. 네이버의 비만도 계산기를 이용했을 때와 같은 56kg 이랍니다.

 

 

위 방법은 성인의 표준몸무게를 계산하는 방법이며 아이들의 경우 표준 체중 (kg) = 신장 (m) × 신장 (m) × 신장 (m) × 13으로 계산해보세요. 몸무게(kg) ÷ (신장(m) × 신장(m)) 으로 18.5 이하면 저체중, 18.5~23 정상, 23~ 25 과체중, 25~30은 비만, 30이상은 고도비만입니다.

 

 

간단하게 표준몸무게 계산기를 활용해서 정상체중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만약 표준보다 더 나갈 경우 적당한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체지방을 떨어트릴 수 있어요. 특히 견갑골 스트레칭을 하면 갈색지방 세포를 활발하게 해서 체지방감소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초록창에 비만도 계산기를 검색하여 자신의 몸무게가 정상인지 과체중인지 확인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