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뜨는시간 알아보는 방법

반응형

겨울에는 해가 너무 늦게 떠서 늦잠을 잤다면 여름에는 해뜨는시간이 빨라서 잠이 부족해지기 쉬운데요.. 그래서인지 요즘 더 피곤하게 느껴지네요. 여름에는 해가 언제 뜨고 언제 지는 걸까요... 궁금한 일출일몰 시간을 알아보는 법을 알아두세요.

 

 

일출일몰 시간이 다이어트를 방해한다? 아직 새벽 5시인데 밖이 환해요..저녁 8시 인데 아직 밖이 환해요.. 여름에는 해가 빨리 뜨고 늦게 지기 때문에 하루가 길게 느껴지는데요. 그래서 인지 피로가 더 쌓이고 배도 금방 고파집니다. 해가 지고 어둑어둑해지면 그만먹어야지.. 라는 생각이 드는데 8시가 되도 밖이 환하니.. 왠지 더 먹게 되네요.

 

 

도대체 여름 해는 얼마나 빨리 뜨고 늦게 지는 걸까요? 제가 사는 곳의 일출시간을 찾아보니 새벽 5시 15분이면 해가 뜬다고 합니다. 새벽 5시라니.. 그래서 아침에 눈이 빨리 떠지나 봅니다.

 

반대로 일몰 시간은 저녁 7시 58분이랍니다. 일년 중 낮이 가장 긴 날인 하지는 6월 22일 무렵으로 낮 시간이 14시간 46분이었어요.

 

 

내가 사는 지역의 여름, 겨울 일출시간은 언제일까? 알아보는 방법으로 포털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어요. 일출시간 또는 일몰 시간이라고 검색창에 입력한 후 클릭하면 지역별 일출 일몰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요. 6월 현재 해가 가장 빨리 뜨는 곳은 독도와 울릉도 랍니다.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에서도 해뜨는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 월별 해/달 출몰시각)을 통해 지도에서 원하는 지역을 선택해 월/별 출몰 시각을 볼 수 있어요.

 

 

시민박명, 항해박명, 천문박명 등의 박명시각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시민박명은 해가 떨어진 직후로 자동차가 헤드라이트를 켜야 하는 시각, 항해박명은 시민박명이 시작되고 30분 뒤, 천문박명은 해가지고 별을 보기 좋은 시간을 뜻해요. 천문박명이 지나야 완전히 어두워 지고 밤이 시작되는거에요. 해가 뜨는 시간과 함께 박명시각도 확인해 보세요.

 

 

오늘 서울은 새벽 5시 13분에 해가 떴고 19시 57분에 해가 진다고 하네요. 일출시간과 함께 일몰 시간도 확인할 수 있으니 야외활동 계획하신 분들이라면 둘다 알아 두면 좋을 것 같아요.

 

 

천문연구원 홈페이지 에서는 연말 일몰시각과 새해 일출 시각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매년 12월 31일이면 일출을 보러 명소를 찾는데 지역마다 일몰시각이 자세히 나와 있어서 유용하답니다. 연말 일몰과 새해 일출 시각이 궁금할 때도 이용해 보세요.

 

 

올해 2015년 12월 31일 일몰 시간은 언제일까..  서해안 해떨어지는 시간은 오후 5시 24분이라고 합니다. 해뜨는시간 찾는 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여름이 되면 낮의 길이가 길어지고 고온 다습해서 지치기 쉬운만큼 보양음식으로 기력을 채우시고 수분과 비타민C가 풍부한 과일도 많이 챙겨 건강을 유지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