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저림 원인 질환은

반응형

팔저림 원인이 도대체 뭘까 불안하고 걱정했던 경험 있다면 의심할 수 있는 질환을 알아두고 서둘러 대처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팔저림은 호르몬 분비이상, 신경성, 혈관성 심인성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즉시 치료를 하면 완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방치할 경우 악화되고 회복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팔저림 원인으로 질병이 의식될 경우 서둘러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PC사용을 장시간 하는 것이 팔저림 원인이 될 수 있어요. pc와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고 있으면 어깨가 뻐근하고 어깨결림이 악화되면 팔과 손이 저려 올 수 있어요. 어깨결림이 심해지지 않도록 올바른 자세로 앉고 틈틈이 스트레칭으로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세요.

 

 

경추 추간판 탈출증(목디스크)를 의심해 볼 수 있어요. 목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 노화나 외상 등에 의해 튀어나와 신경을 압박할 경우 발생하는데요. 증상으로 손의 악력이 저하되고, 마비, 손끝 운동 장애가 발생합니다. 중증이 되면 다리 움직임에도 영향을 주고 기침, 재채기를 할 때도 통증이나 팔저림이 심해집니다.

 

 

흉곽 출구 증후군이 팔저림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어요. 어떠한 원인으로 쇄골 주변의 신경이 혈관 함께 압박되면 팔저림이 나타납니다. 사무직인 경우 팔이나 목에 부담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서 목 근육과 늑골 등에 의해 신경이나 혈관이 압박되어 흉곽출구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어요.

 

 

초기에는 손가락이 저리고 힘이 들어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팔의 피부 감각 이상이 나타고, 진행이 되면 어깨와 목에 통증, 팔저림이 나타나고 팔을 올리거나 목을 위로 향하는 동작이 어려워져요. 목과 어깨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였을 때 손가락의 혈색이 바뀌는 등 증상이 뚜렷이 나타날 경우 의심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사무직에게 많은 흉곽 출구 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두세요. 컴퓨터 화면을 볼 때 자신도 모르게 턱이 앞으로 나와 있다면 가슴을 쫙 펴고 스트레칭을 해주세요. 고개를 장시간 숙이고 있었을 경우에는 머리를 천천히 돌려 목의 옆, 뒤 근육을 스트레칭 해줍니다. 팔을 머리 위로 쭉 기지개를 해주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팔저림의 원인으로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의심해 볼 수 있어요.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40세 이후의 여성에게 발병하기 쉽습니다. 증상은 손발저림, 졸음, 나른함 외에도 기억력저하, 붓기, 체중증가, 변비, 쉰목소리 등이 있습니다.

 

 

생명과 관련있는 위험한 질병인 뇌경색, 뇌출혈의 전조증상으로 팔저림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요. 뇌혈관이 막혀 뇌 세포에 혈액이 전해지지 않게되고 그 부분의 뇌 세포가 괴사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발생한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집니다.

 

 

손발의 마비, 한쪽 팔다리 마비, 안면신경마비, 언어장애, 실어증,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빨리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스스로 판단해고 불필요한 걱정을 하고 스트레스를 받기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고 치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허리디스크)도 팔저림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허리뼈 사이에는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있는데 어떠한 원인으로 탈출하여 주변 신경을 누르면 두통, 팔저림, 다리저림, 목, 허리 통증 등을 유발하게 됩니다.

 

 

손바닥이나 손가락이 더 저리다면 팔꿈치 터널증후군과 손목터널 증후군, 건초염 등을 의심해 볼 수 있어요. 팔꿈치를 구부린 상태로 장시간 있을 경우 척골 신경이 압박 되어 팔, 손가락에 저림과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무직에게 많이 나타나며 팔꿈치와 새끼 손가락에만 증상이 있을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어요.

 

 

손목터널 증후군과 건초염 등도 장시간 손을 혹사시켜 발생하는 질환으로 팔저림 원인이 되는데요.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증상이 있다면 팔꿈치 터널증후군을, 엄지와 검지, 중지가 아프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잘못된 자세를 고치고 장시간 작업하는 것을 자제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