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안이 마르는 증상이 있으면 구취가 생기고 몸의 저항력이 떨어져 감기에 걸리기 쉬우며 충치가 증가하게 됩니다. 눈이 건조한 안구건조증에 대해서는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입안이 마르는 증상인 구강건조에 관해서는 모르는 분들이 많은 만큼 왜 입안이 마르는지 그 이유 그로 인한 증상, 대처법을 확인해 둘 수 있었으면 합니다.
구강건조는 침이 나오기 어려운 입안이 마른 상태를 말합니다. 입안이 마르는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구강 호흡이 있습니다. 코가 아닌 입으로 호흡을 하는 사람의 경우 항상 건조해지게 됩니다. 특히 잠잘 때 입으로 호흡하면 혀와 입천장은 물론이고 목구멍까지 건조해지기 쉬워요.
쇼그렌증후군으로 인해 구강은 물론 안구 건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 자신의 몸의 일부를 자신의 면역세포가 공격하는 질병으로 40대 중년 여성에게 발생하기 쉽습니다. 구강건조와 안구건조, 관절통, 마른 기침, 삼킴 곤란 등이 함께 나타날 수 있어요.
음식을 먹을 때 씹는 횟수가 적거나 씹는 힘이 약한 것도 입안이 마르는 증상을 유발하는데요. 음식을 씹을 때 침을 만드는 침샘이 자극되고, 침샘 주위의 근육이 움직여 침을 밀어내기 때문에 부드러운 음식만을 먹으면 입안이 건조해질 수 있어요. 식사 시 꼭꼭 씹어서 먹고 시간이 부족할 경우 식후에 껌을 씹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됩니다.
고혈압약이나 정신질환 약물 등 약 500개 이상의 약물이 구강건조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섭취한 후 갑자기 구강건조가 생겼다면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그 밖에 심리적인 요인 또한 입안 마르는 증상을 발생시키는데요. 긴장을 했을때 건조해지는 것은 교감신경이 자극 되었기 때문으로 일시적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늘 스트레스로 긴장 상태에 있다면 구강건조가 심해질 수 있어요.
입안이 마르면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 우선 구취가 심해집니다. 구취는 혀의 하얀부분 설태에서 나는 것인데 구강건조로 인해 타액이 설태를 씻어내지 못하면 구취가 점점 강해지게 됩니다. 입냄새가 고민인 분들이라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전용 세정기로 설태를 제거해주셔야 해요.
충치에 걸리기 쉬워집니다. 구강이 건조하면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서 충치가 생기게되며 특히 치아와 잇몸 경계에 발생하기 쉬워요. 침은 충치균으로 부터 치아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양치질을 잘 하는 것과 함께 입안이 건조해지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해요.
몸의 저항력이 떨어지고 치주 질환에 걸리기 쉬워집니다. 구강이 건조해지면 세균이 활발해지고 잇몸이 붓고 치주 질환으로 진행이 됩니다. 또한 타액으로 인해 보호되고 있는 혀가 건조해지면서 염증이 생기고 빨갛게 붓고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입안이 건조해서 수분과 함께 삼키지 않으면 끝까지 삼키기 어려울 수 있어요. 또한 혀가 마르면서 통증이 있고 자극이 있는 음식을 먹기 힘들어 지며 침이 소화를 도와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소화하는 데 불편함이 생길 수 있어요.
입안 마르는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은 없나요. 우선 구강을 촉촉하게 하기 위해 수분을 섭취하고 음식을 먹을 때 여러번 씹는 것이 중요해요. 씹는 행동으로 타액선이 자극되어 침이 많이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가능한 30번은 꼭꼭 씹도록 해주세요.
밤에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입안 건조를 예방합니다. 마스크를 하고 자면 입안의 건조함을 예방하고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아 감기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껌을 씹는 것도 침의 분비를 촉진하여 구강 건조를 막을 수 있어요.
카페인과 알코올은 이뇨 작용이 있어서 탈수를 유발하니 과다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스트레스 또한 입안이 마르는 증상의 이유가 되니 휴식을 통해 쌓아두지 않도록 해주세요. 위 방법으로 해소가 되지 않을 경우 질병이 원인일 수 있으니 정확하게 확인을 하고 치료 받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챙기기 > 증상과 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색종 증상 원인은 (0) | 2016.05.09 |
---|---|
머리카락 굵어지는 방법 뭘까 (0) | 2016.05.06 |
엉덩이 근육 통증 이유 (0) | 2016.05.03 |
기침이 심할때 해소법 (0) | 2016.05.02 |
견갑골 통증원인 질병일까 (0) | 2016.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