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통증 원인

반응형

위 통증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위가 아프면 소화가 안되는건가라고 그냥 넘기는 분들이 많은데요. 실제로 대부분의 위 통증 원인은 소화기 계통 질환에 있으며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췌장염, 담석 등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암 같은 무서운 질환이 숨어 있는 경우도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과식을 해서 그런걸까.. 명치부근에서 위화감이 느껴지면 어떤 질병을 의심할 수 있나요. 가장 일어나기 쉬운 위 통증 원인으로 급성 위염을 의심해 볼 수 있어요. 점막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 식중독, 자극적인 음식의 과다 섭취, 폭식, 알코올, 약물, 알레르기, 스트레스가 있습니다.

 

 

급성위염의 증상은 명치 통증이나 불쾌감, 구토, 복부팽만, 식욕 저하 등이 있으며 대부분 안정을 취하면 3~5일 안에 치료가 됩니다. 자극적인 음식과 카페인, 음주, 신과일 등 증상을 악화시키는 것을 삼가해주세요.

 

 

신경성 위염으로 인해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정신적인 불안이나 스트레스, 수면부족, 업무에 의한 피로 등이 위 통증 원인이 되는 것으로 증상은 심한 복통, 구토, 식욕부진, 트림, 체중감소 등이 있습니다. 하루 정도는 식사를 하지 않고 차가운 물과 음료도 피해주세요. 증상이 나아지면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위무력증으로 인해 아플 수 있어요.  위장 근육의 힘이 약해지면 연동운동 또한 쇠약해 지게 되고 조기 포만감, 복통, 식욕부진, 속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평소 소화제를 달고 살거나, 소화불량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 될 때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통증 원인이 위경련인 경우도 있는데요. 명치 부근을 중심으로 갑자기 발병하여 심한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통증은 몇 분에서 2시간 정도 지속될 수 있어요. 십이지장염, 급성 췌장염, 변비 등 다른 부위의 질병으로 인해 위경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식사 중이나 식후 위의 통증 원인으로는 위궤양이 있어요. 식후에 배꼽 위 명치가 아플때 의심할 수 있는 질환으로 욱신거리고 답답한 느낌 외에 복부팽만, 속쓰림, 구토, 트림, 메스꺼움 등이 나타납니다.

 

 

식사 전, 공복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십이지장 궤양을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음식을 먹은 후에는 나아진다면 십이지장 궤양입니다. 궤양이 생기는 이유는 과로, 스트레스, 음주, 흡연, 자극적인음식 등 다양한데 대부분의 십이지장 궤양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점막에 종양이 생기는 것도 위 통증을 발생시키는데요. 종양이 작으면 증상이 없지만 때때로 복통이나 불편한 느낌이 들 수 있어요. 종양이 커지면 토혈, 하혈 등의 증상이 생기게 되고 수술이 필요해집니다.

 

 

초기증상이 없어 사망률이 높은 위암으로 인해 아플 수 있어요. 증상이 없거나 소화불량 증상과 같아서 모르고 지나치는 분들이 많은데요. 증상은 상복부 통증, 속쓰림, 구토, 식욕부진, 빈혈, 체중감소가 있으며 약을 먹어도 증상이 3주 넘게 지속될 경우 질병을 의심하고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식습관이 서구화 되면서 위장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예방을 위해서는 식습관을 개선하는 것과 균형있게 영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병을 예방하는 식습관으로는 녹황색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기, 발효 식품을 먹기, 기름진 음식을 과식하지 않기, 싱겁게 먹기 등이 있습니다.

 

 

식사 시간을 규칙적으로 하기, 취침 3시간 전에는 음식을 섭취하지 않기도 중요합니다. 생활습관으로는 적당한 운동을 통해 소화 기능을 향상시키기, 충분한 수면 취하기, 금연하기 등이 있습니다. 위 통증 원인이 단순한 소화불량이 아닌 위궤양일 수 있으며 궤양은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평소 올바른 식생활 습관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반응형

'건강 챙기기 > 증상과 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문이 가려운 이유 뭘까  (0) 2016.04.18
갑자기 살이 찌는 이유  (0) 2016.04.17
무릎에 좋은운동 종류  (0) 2016.04.15
당뇨 정상수치 유지  (0) 2016.04.14
숨이 차는 이유 모음  (0) 2016.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