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평 m2 평수계산법은

반응형

어릴적에는 이사를 가는게 정말 싫었는데.. 요즘은 좀더 넓은 곳으로 이사를 가기 위해 사는 것 같아요.. 지금 살고 있는 곳보다 넓은 집으로 이사를 가고 싶을 때 부동산 관련 기사와 광고를 챙겨보는데 그때마다 m2 단위가 어렵게 느껴지더라고요. 1평 m2로 계산하면 어떻게 되는거지.. 헷갈리고 어려운 평수계산법을 쉽게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동안 아파트 면적을 평수로만 알고 있어서 평방미터로 표기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졌는데요. 하지만 지금은 평수가 아닌 m2로 표기하고 표기해야 하기 때문에 부동산 상식을 배운다는 생각으로 아파트 평수계산법을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아파트 정보를 보기위해 해당 아파트 분양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세대정보와 함께 76 m2, 84m2, 100m2 라고 면적이 표시되어 있는데요. 좀더 자세히 76.9706m2, 공급면적 100.6376m2 라고도 적혀있는데 어느정도인지 솔직히 감이 잘 안잡혀요.

 

 

이럴 땐 계산기를 이용해서 곱하기 또는 나누기를 하면 되는데요. 평수계산법으로 m2에 0.3025를 곱하면 평수가 됩니다. 나누기를 할 때는 3.3으로 나누면 돼요. 1평 m2으로 하면 1평 3.305785m2, 1m2는 0.3025평 이랍니다. 그래서 평수계산할 때 곱하거나 나누면 평수를 확인할 수 있어요.

 

 

70m2일 경우 좀더 편한 계산을 위해 뒷자리를 없애고 7곱하기 3을 하면 21평이 나오며 181m2라면 18×3을 하여 54평이라고 확인 할 수 있어요. 만약 1자리의 숫자가 5보다 크면 반올림을 해야 맞습니다. 뒷자리없애고 156m2 였다면 16×3으로 계산해야 하는거에요.

 

 

내가 계산했는데도 왠지 아닐것 같고 불안하다면 포털사이트의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어요. 계산기에서는 평을 m2로 반대로 m2를 평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헥타아르, 에이커, 단보 등 다양한 단위로 변환해 볼 수 있습니다.

 

 

계산기를 이용한 1평 m2은 어렵지 않은데요. 원하는 단위와 숫자를입력하여 환산하면 됩니다. 1평은 3.305785m2가 됩니다. 예를 들었던 76.9706m2의 경우 23.2836065평 간단하게 앞자리만 확인하여 23평이란 것을 알 수 있어요. 소개해 드렸던 평수계산법으로 해보면 76일 경우 끝의 2를 없애고 7곱하기 3을 하면 되지는데 끝자리가 5이상이라서 반올림해 8×3으로 하면 비슷하게 나옵니다. 어렵게만 생각하지 마시고 직접 해보고 다시한번 계산기로 정확하게 확인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