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달력을 책상 위에 올려 놓고 가장 먼저 2016년 구정연휴가 며칠인지를 확인해 보았는데요. 2016년에는 대체휴일제가 적용되어 황금연휴를 보낼 수 있겠더라고요. 2016년 구정날짜를 확인하고 쉬는날을 전부 계산 해보니 생각보다 많은 69일이나 되네요. 2016년 구정연휴와 추석은 물론 성탄절 등 포함 언제 얼마나 쉴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새해를 여는 1월 1일 신정은 금요일이에요. 새해 첫날에는 새벽부터 해돋이를 보러가야 하는데 다음날이 평일이면 피로를 풀기 힘든데요. 다행히 새해 첫날 뒤로 주말이 있네요. 금, 토, 일을 쉴 수 있어서 좀 더 멀리 여행을 계획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양력 1월 1일을 신정이라고 한다면 음력 1월 1일은 구정이라고 하는데요 음력 1월 1일인 설날은 양력으로 2월 8일 월요일 이랍니다. 따라서 전날인 2월 7일 부터 다음날인 9일까지가 구정연휴가 되지만 설날 연휴에 일요일이 포함되어 있어 대체휴일제가 적용됩니다.
구정 전날인 2월 7일이 일이욜이기 때문에 대체휴일 제가 적용 2월 10일까지(일, 월, 화, 수) 쉴 수 있게 되는건데요. 2월 7~10일까지 4일이나 쉴 수 있는데 2월6일이 토요일이라서 2016년 구정연휴는 총 5일(토,일,월,화,수)이 됩니다. 만약 금요일에 연차를 계획하고 있다면 총 6일간의 황금연휴를 보낼 수 있습니다.
신정은 물론 구정연휴까지 생각보다 연휴기간이 길어지겠어요. 2015년 총 공휴일수는 66일이었는데 2016년 공휴일수는 며칠이나 될까요? 붉은원숭이해인 2016년 공휴일수는 올해와 같은 66일이지만 이것 저것 따져보면 69일이 됩니다. 일요일이 52번, 관공서에 근무할 경우 15일, 설 대체휴일 1일, 국회의원선거일까지 포함하면 69일이 됩니다.
하나씩 달력을 보며 표시하며 확인해 보세요. 먼저 신정은 1월 1일 금요일, 구정은 2월 8일 월요일로 올해는 (2월 10일)대체휴일제가 적용이 됩니다. 설날이 지나면 금방 3월이 되는데요. 3월 휴일로는 우리나라의 독립의사를 세계에 알린 삼일절이 있습니다. 2016년 3월 1일 화요일이니 태극기 게양을 잊지 마세요.
3월 이후로는 쉬는 날이 없지만 4월에 국회의원선거일이 있어서 일찍 투표를 하면 나들이를 떠나거나 집에서 휴식을 할 수 있습니니다. 국회의원선거일은 4월 13일 입니다. 5월에는 5일 어린이날, 14일 석가탄신일이 있는데요. 어린이날이 목요일이라서 금요일 연차를 쓰면 토,일까지 긴연휴를 보낼 수 있습니다. 6월 6일 월요일은 현충일, 8월 15일 월요일은 광복절이며 토,일과 연결되어 있어 3일정도 쉴 수 있습니다.
설날 만큼 기대되는 추석연휴는 며칠이나 될까요. 2016년 9월 15일 수요일인 추석은 대체휴일제가 적용되지 않지만 토, 일 주말이 뒤에 있기때문에 (수,목,금,토,일)총 5일을 쉴 수 있습니다. 2016년 구정연휴보다는 짧지만 주말이 뒤에 있어서 편하게 쉴 수 있겠네요. 10월 3일월요일 개천절, 9일은 일요일로 한글날, 12월 25일 일요일은 크리스마스 입니다. 2015년과 비교해보니 큰 차이는 없지만 그래도 일요일 뒤에 찾아오는 쉬는날이 있어서 더 많게 느껴질 것 같습니다.
'생활과 경제 >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마트 휴무일 12월 쉬는날 찾는법 (0) | 2015.12.13 |
---|---|
특수문자 단축키 찾는 방법은 (0) | 2015.12.10 |
남자 향수 뿌리는법 알맞은 위치는 (0) | 2015.12.04 |
다이소 영업시간 위치 찾는법은 (0) | 2015.12.02 |
겨울 인사문구 안부인사말 쓰는법은 (0) | 2015.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