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두드러기 증상은 왜 발생하는 걸까요. 갑작스러운 식중독 증세로 당황하지 않도록 대처법과 예방법을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패된 음식이나 오염된 물을 마시면 식중독에 걸리게 되는데요. 흔히 여름에 식중독이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하는데 갑작스럽게 기온이 변하는 봄철 (4~6월)에 설사, 구토, 식중독 두드러기 등이 많이 나타납니다. 설사와 구토는 흔히 나타나는데 두드러기는 왜 발생하는걸까.. 그 원인을 소개해드릴게요.
평소와 달리 식중독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면 더욱 당황하게 되는데요. 두드러기가 나오는 것을 히스타민 중독이라고 하며 주로 생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신선도가 떨어지는 붉은 생선, 등푸른생선을 먹으면 히스타민으로 인한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붉은생선, 등푸른 생선이 식중독 증세를 일으킨다? 참치, 방어, 꽁치, 고등어, 정어리 등에 들어 있는 히스티딘은 히스타민 생산균이 생산하는 효소의 작용으로 히스타민이 되는데요. 이 히스타민을 100mg 이상 먹을 경우 식중독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히스타민에 의한 식중독 두드러기 외에 어떤 증세가 나타날까.. 주요 증상으로는 식중독의 대표 증세인 구토와 복통, 설사가 있으며, 섭취 후 1시간 이내에 안면 특히 입 주변이 붉어지고 두드러기가 발생합니다.
알레르기 체질이라서 히스타민 식중독에 걸리기 쉬운 것은 아닐까요? 음식에 생긴 히스타민을 먹은 것이 원인이라서 알레르기 체질과는 관련이 없어요.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선한 음식을 먹어야 합니다.
가열하면 괜찮지 않을까요? 히스타민은 가열해도 분해되지 않아요. 히스타민이 생성되면 익혀 먹어도 소용이 없습니다.
냉동 보관하면 괜찮을까요? 냉동하기 전에 이미 히스타민의 양이 증가해 있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식중독 두드러기 원인 히스타민을 예방하는법
1. 붉은 생선은 상온에 방치해서는 안됩니다
2. 냉장해도 장기가 보관하면 히스타민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빨리 드세요.
3. 냉동 육류, 생선을 해동할 때는 냉장고에서 해동하는 등 가능한 저온에서 단기간에 해결합니다. 동결과 해동을 반복하지 않습니다.
히스타민으로 인한 식중독 증세를 해결하는 방법은?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은데요. 히스타민을 소변으로 배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증세가 완화되지 않으면 병원에서 진찰을 받고 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붓기와 가려움은 아이스팩 등으로 냉각하면 가라앉힐 수 있어요.
두드러기 외에 식중독 증상은?
크게 4종류로 설사, 복통, 구토, 발열이 있지만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잠복기간이 긴 경우 일주일 후에 설사와 구토가 발병하지만 세균과 바이러스로 인한 경우 몇 시간에서 며칠이면 설사와 구토가 나타납니다.
먹고 몇 시간 후에 식중독 증세가 나타나는 균은?
살모넬라균은 식후 4~48시간 후에 40도에 가까운 발열과 설사, 복통, 구토 증세가 나타나며 특히 설사가 심합니다.
잠염 비브리오균은 약 8~24시간 잠복 후 복부 위화감, 심한 복통, 발역열, 구토, 설사가 나타납니다.
황색 포도상 구균은 식후 1~2시간 후 심한 구역질과 구토, 발열, 설사가 발생하며 드물게 쇼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며칠 후에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은?
캄필로박터균의 잠복기는 평균 2~3일로 물 같은 설사 또는 혈변이 나오며, 복통, 발열, 두통, 메스꺼움 등이 나타나서 감기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노로바이러스 또한 24~48시간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설사, 구토, 메스꺼움, 발열 (38도)이 나타나며 대부분 하루가 지나면 안정이 됩니다. 아이들은 구토, 성인은 설사가 발생하기 쉬워요. 예방을 위해서는 85 ℃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하면 됩니다. 또한 감염 된 사람의 구토물이나 분변을 주의해야 합니다.
식중독 두드러기 증상도 괴롭지만 구토나 설사로 인한 탈수를 주의해야 하는데요. 설사와 구토가 오래 지속되면 체내 수분과 전해질이 부족해지기 물 또는 스포츠음료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차게 마시기 보다 미지근한 온도가 적당하며 한꺼번에 마시는 것보다 조금씩 나누어 마시는 것이 위장에 부담이 덜 됩니다.
대부분의 식중독 증세는 시간이 지나면 나아지지만 심한 설사나 구토가 있거나, 혈변이 보이거나, 호흡이 불안정할 경우에는 병원에서 진찰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고등어의 경우 신선도가 쉽게 저하되어 식중독 두드러기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만큼 바로 냉장, 냉동 보관하시고 1주일 안에는 반드시 섭취해주세요.
'건강 챙기기 > 증상과 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두통원인 증상 정리 (0) | 2017.05.06 |
---|---|
온몸이 가려운 증상 이유 (0) | 2017.05.02 |
손이 붓는 이유 있나 (0) | 2017.04.28 |
무릎인대가 늘어났을 때 증상 (0) | 2017.04.26 |
위암 자가진단 증상 (0) | 2017.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