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인 급여계산기 예상 실수령액은

반응형

연봉, 월급에 따른 실수령액 계산을 사람인 급여계산기를 이용해서 알아볼수 있어요. 어떤 입장이든 회사에 소속 된 이상 급여라는 단어가 반드시 관련되는데요. 하지만 지급액에서 실수령액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계산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모르는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급여계산기를 활용하면 누구나 예상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으니 쉽게 계산해보세요.

 

 

힘들게 번 돈이지만 각종 세금과 4대보험료까지 빠져나가면 얼마나 남는걸까..취업을 앞둔 분들이라면 더욱 궁금하실 것 같은데요. 사람인 연봉계산기를 이용하면 어느정도 예상을 할 수 있습니다.

 

 

일단 포털사이트에서 사람인을 검색하여 접속 한 후 오른쪽에 보이는 연봉정보를 눌러주세요. 기업별 연봉통계를 무료로 확인할 수 있으니 관심있는 기업의 연봉을 참고용으로 확인해보세요. 계산기는 왼쪽에 나의 예상 실수령액을 눌러주시면 바로가기 할 수 있습니다.

 

 

이제 나의 희망 또는 현재 연봉을 입력하여 세금을 제외한 실급여를 확인하시면 되는데요. 연봉이 아닌 월급을 입력하셔도 됩니다. 사람인 급여계산기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앱을 설치해서 확인하는 방법도 있으니 편한 방법으로 이용해 보세요.

 

 

월급은 300만원 부양가족수는 없을 경우 1명이라고 입력 하여 계산하기를 누르면 월급에서 세금과 보험료로 얼마나 나가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산해보니 실수령액은 2,678,250원, 공제되는 공제액은 321,750원이라고 나오네요. 연봉을 선택하여 계산하셔도 됩니다.

 

 

공제율의 경우 물음표에 마우스를 대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과세금액의 4.5%를 건강보험은 3.035%, 장기요양은 건강보험 금액의 6.55%를 고용 0.65% 를 공제 합니다. 그 밖에 소득세 (부양가족수와 20세 이하 자녀수에 따라) , 지방소득세(소득세의 10%) 공제율을 확인해 보세요.

 

 

매월 얼마를 받는 건지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졌는데 사람인 급여계산기를 활용해보니 편하더라고요. 연봉이나 월급 기준으로 각종 세금이나 실수령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니 어려운 계산법대신 어플이나 사이트를 이용해서 바로 확인 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