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나이 계산하기 달력으로 아는법은

반응형

내가 올해 몇 살이 되는거지 만나이 계산하기 방법으로 한 살이라도 더 어린 만나이를 알아볼까요. 한국에서는 해가 바뀌면 한 살 씩 더 먹게되어 1월1일 되면 1살이 늘게 되는데요. 만 으로 계산하는 다른 나라보다 꼭 한 씩 더 먹게 되는데 왠지 손해보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뿐만아니라 일상에서는 한국식 나이 계산을 사용하지만 각종 공문서나 법률적으로는 만 나이가 기준이 되기 때문에 자신의 만나이를 정확하게 알아두는 것이 좋아요. 예를 들어 투표할 수 있는 나이가 만 19세라서 20살이 되어도 만으로는 19세가 되지 않아 선거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식 나이 계산 방법부터 알아보면 우리나라는 태어나자 마자 한 살이 됩니다. 따라서 계산할 때 현재년도에서 자신의 생년을 빼고 1을 더해야 합니다. 외국식 만나이 계산하기를 위해서는 현재년도에서 출생년도를 빼면되는데 이때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1을 해주셔야 해요. 한국식보단 최대 -2살 더 어려지는 것이랍니다.

 

 

복잡하게 느껴지신다면 포털사이트의 달력을 활용하시면 되는데요. 자신의 생년월일과 현재년도만 알면 쉽게 계산이 됩니다. 예를 들어 1988년 12월 30일에 태어난 사람이 한국식으로 계산을 하면 2015-1988+1 = 28살이 되지만 만으로 하면 2015-1988-1(생일이 지나지 않았기때문) = 만 26살이 됩니다.

 

 

생일이 지났을 때는 2015-1988 = 27살이 랍니다. 생일이 지나고 안 지나고의 차이가 생각보다 크게 느껴지시죠. 만으로 했을 뿐인데 2살이나 어려지다니.. 한 살 먹을 때마다 속상했는데 앞으론 외국식으로 계산할 까봐요.

 

 

마치 위험할 때마다 몸의 색깔을 바꾸는 카멜레온 처럼 한국나이로 말했다가 만으로 말했다가 두 가지 다 사용하는 분도 있더라고요. 남녀 누구나 나이에 민감하기 때문에 출생년도를 말하는 분들도 있는데 제 경우 띠를 말하는 편이에요. 바로 이야기 하는 것 보다는 띠로 말하는게 부담이 덜하더라고요.

 

 

평소에는 한국식, 외국식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카드 만들 때나 법률적으로 만 나이가 필요하니 미리 만나이 계산하기 해보시고 헷갈리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2016년이 되면 1살 더 먹게 되는데요 1월 1일부터 한 살더 늘게되는 한국식이 아닌 만으로 계산할 수 있었으면 해요.

반응형